어깨충돌증후군의 정의, 발생 원인 대표 증상부터 비수술, 수술치료방법, 재발 방지를 위한 생활 습관까지 총망라해 알아보겠습니다.

1. 어깨충돌증후군이란?
어깨충돌증후군(Shoulder Impingement Syndrome)은 어깨를 감싸고 있는 회전근개(rotator cuff)와 견봉(어깨 윗부분을 이루는 뼈)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면서 근육, 힘줄, 윤활주머니 등에 마찰이나 압박이 가해져 통증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어깨를 들어 올리거나 회전시키는 동작이 많은 분들에게 비교적 흔히 나타나는 편인데, 운동선수 뿐만 아니라 사무직 근로자, 주부, 학생 등 다양한 직업군에서 발병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어깨의 움직임은 상완골(위팔뼈), 견봉, 쇄골, 견갑골이 함께 작동하며 이 과정을 보조해주는 것이 회전근개입니다.

회전근개는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소원근(teres minor), 견갑하근(subscapularis) 등 네 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어깨의 안정성과 회전을 담당합니다.
그러나 반복적인 사용이나 과도한 충격 등으로 인해 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거나, 견봉과 회전근개 사이에 있는 공간(봉우리밑공간, subacromial space)이 좁아져서 힘줄을 자극하게 되면, 통증이 유발되고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과정을 단순화해 보면, 팔을 들어올릴 때 견봉과 상완골 사이의 공간이 일시적으로 좁아져 힘줄이나 윤활주머니가 눌리게 됩니다.

건강한 어깨라면 정상 범위 내에서 잘 움직여 큰 문제가 없지만, 노화로 인한 힘줄의 퇴행, 무리한 반복 동작, 오랫동안 지속된 잘못된 자세 등이 겹치면 회전근개가 손상을 입고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이것이 바로 어깨충돌증후군의 핵심 발생 메커니즘입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의 원인
1) 반복적 동작
매일 같은 자세로 작업하거나 반복적으로 무거운 물건을 드는 습관이 있다면, 회전근개에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축적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택배 상하차 업무나 무거운 물건을 상부 선반에 올리는 동작이 많은 경우, 어깨 위쪽 구조물에 과부하가 걸려 염증이 쉽게 생깁니다.
2) 잘못된 자세
의자에 앉을 때 등이 굽거나, 고개가 앞으로 나온 상태에서 오래 작업하면, 견갑골의 위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어깨 윗부분을 이루는 견봉이 아래쪽으로 내려와 회전근개를 더 강하게 압박할 가능성이 생깁니다. 또한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오래 사용하는 ‘거북목’ 자세도 어깨 라인에 부담을 줘서 충돌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노화와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들면서 힘줄과 인대 조직이 약해지고 탄력을 잃습니다. 특히 50대 이후에는 회전근개 파열이 흔해지는데, 작은 파열이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커질 수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이지만, 적절한 운동과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어깨충돌증후군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4) 운동 손상
테니스, 배드민턴, 야구처럼 어깨를 머리 위로 들어 올려서 스윙하는 동작이 잦은 스포츠는 상완골과 견봉 사이 공간을 지속적으로 좁히는 결과를 낳습니다.
만약 준비 운동 없이 무리하게 스윙 동작을 반복하거나 잘못된 폼으로 운동한다면, 더 빠르게 회전근개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5) 선천적 구조적 문제
일부 사람들은 견봉의 형태가 일반인보다 아래로 휘거나, 견봉과 상완골 사이의 공간이 좁게 타고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나이가 젊어도 어깨통증이 잦을 수 있으며, 심하면 비교적 이른 시기에 수술적 교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과 자가 진단 방법
1) 어깨 앞이나 옆의 통증
팔을 들어 올리거나 뒤로 젖힐 때 특히 통증이 심해집니다. 또한 일상적인 동작, 예를 들어 세수나 머리 감기, 머리 빗기 같은 행동에서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대체로 극상근이 가장 취약해, 팔을 60~120도 정도 들어 올리는 구간에서 통증이 집중되는 ‘페인 아크(Painful Arc)’ 증상이 나타납니다.
2) 야간 통증
밤에 특히 통증이 심해져 잠을 설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팔을 머리 위로 올리거나 옆으로 뻗는 자세를 유지하면 어깨 주변 조직의 긴장도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3) 어깨 힘 약화
염증이나 손상이 진행되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 필요한 근력이 떨어집니다. 가벼운 물건이라도 드는 동작을 오래 지속하면 통증과 피로를 호소하게 됩니다.
4) 뻣뻣함 및 뻐근함
초기에는 움직임 제한이 뚜렷하지 않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어깨를 올리거나 돌릴 때 타이트한 느낌이 동반됩니다. 특히 오랜 시간 책상 앞에서 한 자세로 있다가 갑자기 움직이면 통증과 더불어 ‘딱’ 하거나 ‘우두둑’ 하는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5) 간단한 자가 진단
호킨스(Hawkins) 테스트: 팔을 90도 앞으로 들고, 팔꿈치도 90도로 굽힌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팔을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증 유무를 확인합니다.
니어(Neer) 테스트: 한쪽 손으로 견갑골을 고정시키고, 다른 손으로 팔을 들어 머리 위까지 올려 통증이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이러한 자가 진단 방법으로 통증 반응이 뚜렷하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이 의심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형외과 진료를 받고 방사선 촬영(X-ray), 초음파검사, MRI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 방법
어깨충돌증후군 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초기이거나 경미하다면 비수술적 방법을 우선적으로 시도합니다.
1) 휴식과 생활 패턴 교정
통증을 악화시키는 동작을 줄이거나, 일정 기간 운동이나 무거운 물건 들기 등을 제한해야 합니다. 또한 자세 교정을 통해 어깨와 목, 등 부위의 불필요한 긴장을 완화함으로써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약물치료와 주사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는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와 더불어 통증이 심하거나 염증 부위가 제한적일 때는 스테로이드 주사를 활용해 염증을 빠르게 가라앉히기도 합니다.

3) 물리치료 및 재활운동
온찜질이나 초음파 치료, 전기 자극 치료 등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염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이후 전문 물리치료사의 지도로 회전근개 강화 운동, 어깨 주변 근육 스트레칭, 견갑골 안정화 운동 등을 단계적으로 진행합니다.
예를 들면, 가벼운 탄력밴드(세라밴드)를 이용한 회전근개 강화 운동, 누워서 팔을 옆으로 들어올리는 운동, 벽을 이용해 앞으로 팔을 뻗는 운동 등은 통증이 완화된 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재활운동의 핵심은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꾸준히 진행하는 것입니다. 통증이 조금이라도 심해지면 휴식을 취하고, 횟수와 강도를 점진적으로 늘려야 회복이 빨라집니다.
4)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회전근개가 심하게 파열되어 기능 회복이 어려울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관절경 수술(Arthroscopic Surgery)을 통해 손상된 회전근개를 봉합하거나, 견봉 아래의 골극(뼈 돌출)을 제거하고 공간을 넓히는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수술 후에는 몇 주에서 몇 달에 걸쳐 재활치료가 필수적으로 뒤따르며, 어깨 운동 범위와 근력을 단계적으로 회복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한 생활 습관 팁
1) 규칙적인 스트레칭과 자세 교정
장시간 앉아 있거나 고정된 자세로 작업할 때는 30분~1시간 간격으로 가볍게 어깨, 목, 허리를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특히 견갑골을 뒤로 조이고 가슴을 펴는 동작(스캡슐라 리트랙션)이 어깨 충돌을 완화하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2) 적절한 운동과 근력 강화
무거운 중량보다는 가벼운 중량을 여러 번 반복하여 근육의 지구력과 내구성을 높이는 방향을 권장합니다. 또한 수영처럼 어깨 주변 근육을 고르게 사용해주는 운동이나, 가벼운 맨손 체조를 통해 꾸준히 어깨를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운동 전 준비 운동과 사후 쿨다운
배드민턴, 테니스, 골프 등 어깨 사용량이 많은 스포츠를 할 때는 반드시 충분한 준비운동과 마무리 스트레칭을 해야 합니다.
무리한 스윙 동작은 견봉 하 공간을 빠르게 좁히므로, 부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육을 충분히 이완한 상태에서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4) 올바른 작업환경 조성
책상과 의자 높이를 내 몸에 맞게 조절해 컴퓨터 모니터가 눈높이와 수평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키보드는 어깨가 긴장되지 않을 정도로 가까운 위치에 두어야 하고, 마우스 역시 자연스러운 각도로 잡을 수 있어야 합니다.

참고 자료
- 대한정형외과학회: http://www.koa.or.kr/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정보: https://health.mw.go.kr/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어깨충돌증후군은 일상 속 잘못된 자세, 반복 동작, 그리고 노화나 운동손상 등에 의해 흔히 발생합니다.
그러나 조기에 올바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 생활습관 교정만 잘 병행한다면, 대부분의 경우 통증이 호전되고 정상적인 어깨 기능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꾸준한 스트레칭, 근력 강화 운동, 바른 자세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 스마일 라식 일반 라식과 뭐가 달라? (+ 가격, 장점, 단점, 부작용)
스마일 라식 일반 라식과 뭐가 달라? (+ 가격, 장점, 단점, 부작용)
시력교정 수술을 고민하는 분이라면 한 번쯤 들어본 용어가 ‘라식(LASIK)’, ‘라섹(LASEK)’, 그리고 비교적 최근에 많이 언급되고 있는 ‘스마일라식(SMILE)’일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스마일라
alldogam.tistory.com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파티딜세린 효능 (+ 섭취량, 부작용) (0) | 2025.04.01 |
---|---|
고구마 효능 (+ 영양성분, 다이어트, 칼로리) (0) | 2025.03.31 |
구충제 복용 시기 (+ 복용법, 어린이) (0) | 2025.03.23 |
갱년기 증상 언제 시작되고 어떻게 진행될까? (0) | 2025.03.17 |
전해질이란? (+ 뜻, 전해질부족현상, 음식) (0) | 2025.03.14 |
댓글